패밀리사이트

  • 오마이뉴스
  • 오마이스타
  • 오마이TV
  • 오마이포토
  • 10만인클럽
  • 오마이뉴스APP 모이APP

공유하기

[김삼웅의 인물열전] 무장독립투사 최운산 장군 평전
  • 메일
http://omn.kr/1ratx

오마이뉴스

시리즈
  • 검색 닫기
  • 연재발행
  • 이용안내
  • |
  • 로그인/회원가입

검색

시리즈

[김삼웅의 인물열전] 무장독립투사 최운산 장군 평전

공유하기

[김삼웅의 인물열전] 무장독립투사 최운산 장군 평전

최운산 장군과 그의 형제들.... 선대가 만주(당시는 조선령)로 이주하여 그곳에서 태어난 최운산은 많은 재산을 모았고 일찍부터 둔병을 통해 병사를 육성했으며, 재산을 털어 각종 신식무기를 구입하였다. 해방된 조국에서 제대로 대접받지 못한 무장독립운동가 최운산(催雲山, 1885~1945) 장군과 그 형제들의 치열했던 애국혼과 처절했던 독립전쟁 그리고 서훈신청과 취소 과정에서 빚어진 불미스런 사연을 헤로도토스의 정신으로 탐사하고자 한다.

더보기
  • 정치
  • 기사19
  • 연재 중
  • 김삼웅
  • 공유

참여기자 :

  • 10만인클럽 프로필사진
    10만인클럽 회원 김삼웅 (solwar) 내방
  • OhmyNews
  • 검색 닫기
  • 로그인/회원가입
  • 시리즈
  • 연재
    • 전체연재
    • 프리미엄연재
    • 분야별 보기닫기
    • 사는이야기
    • 사회
    • 경제
    • 정치
    • 문화
    • 민족·국제
    • 교육
    • 책동네
    • 여행
    • 미디어
    • 여성
    • 스타
  • 연재기사
    • 전체 연재기사
    • 인기 연재기사
  • 추천 연재기자
  • 리스트형
  • 카드형
  • 최신순
  • 과거순
  • 19화봉오동 10년 적공의 결실

    [[김삼웅의 인물열전] 무장독립투사 최운산 장군 평전 / 19회] 마침내 역사적인 봉오동 전투가 시작되었다

    봉오동전투는 이 지역의 '터줏대감' 격인 최운산 형제들이 리드하였다. 지형은 물론 산간 마을의 구조까지 훤히 꿰고 있었기 때문이다. 10여 년 전 이곳으로 솔가하여 이주할 때부터 답사하고 준비해온 '사업'이었다.'10년 ...
    21.01.25 18:26 ㅣ 김삼웅(solwar)
  • 18화봉오동에서 불렀던 독립군가

    [[김삼웅의 인물열전] 무장독립투사 최운산 장군 평전 / 18회] 대한북로독군부는 별도의 독립군가가 있어서 각종 훈련이나 행사 때면 불렀다고 하는데 현재 전하지는 않는다

    대한북로독군부는 별도의 독립군가가 있어서 각종 훈련이나 행사 때면 불렀다고 하는데 현재 전하지는 않는다.다만 최운산ㆍ최진동 후손들이 선대가 불렀던 독립군가 두 곡을 기억하여 전하고 있다. 두 곡을 차례로 소개한다...
    21.01.24 14:32 ㅣ 김삼웅(solwar)
  • 17화북로독군부 등의 무장실태

    [[김삼웅의 인물열전] 무장독립투사 최운산 장군 평전 / 17회] 만주의 한국독립군은 주로 연해주에 주둔한 체코군단으로부터 무기를 사들였다

    최운산 형제들은 봉오동의 전략적 가치를 활용하고자 일찍부터 이곳에 터를 잡고 군사력을 키우면서 때를 기다렸다. 그리고 연합부대를 구성하기에 이르렀다. 형제들은 큰형 최진동을 앞세우고 물적 인적 지원을 아끼지 않았다.&...
    21.01.23 18:25 ㅣ 김삼웅(solwar)
  • 16화3개월 동안 32차례 일제기관 공격

    [[김삼웅의 인물열전] 무장독립투사 최운산 장군 평전 / 16회] 무장전쟁론의 기본은 국내에서 일본군을 축출하는 데 있었다

    최운산 형제들을 비롯하여 독립운동가들이 지극히 어려운 여건에서도 줄곧 무장전쟁론을 제기하고 실전에 나선 것은 공허한 백 마디의 언설보다 왜적 하나라도 없애는 것이 조국독립의 길이라고 믿었기 때문이다. 간도...
    21.01.22 16:59 ㅣ 김삼웅(solwar)
  • 15화국치 13년만에 최대규모의 독립군 편성

    [[김삼웅의 인물열전] 무장독립투사 최운산 장군 평전 / 15회] 북로군정서 창설을 주도했던 최운산은 서대파에서 멀지 않은 십리평에 사관연성소를 설립했다

    우리나라 민군(民軍)의 역사는 길다. 관군이 외적에 패퇴하거나 제 기능을 다하지 못할 때 백성들이 스스로 나서 그 역할을 맡았다. 별도의 민군이 편성되기도 하였다. 고구려 - 경당(扃堂) 신 라 - 화랑 ...
    21.01.21 17:00 ㅣ 김삼웅(solwar)
  • 14화최진동을 총재 겸 사령관으로

    [[김삼웅의 인물열전] 무장독립투사 최운산 장군 평전 / 14회] 최운산 형제는 통합독립군인 북로독군부의 최고 책임자가 되었다

    북로독군부는 얼마 뒤 최진동을 총재 겸 사령관으로 하는 지도체제를 개편하였다.개편 후의 북로독군부 조직총재 겸 사령관 최진동 부관 안무참모장 &...
    21.01.20 17:51 ㅣ 김삼웅(solwar)
  • 13화연합부대 대한북로독군부 창설

    [[김삼웅의 인물열전] 무장독립투사 최운산 장군 평전 / 13회] 봉오동은 무장독립군의 총사령부와 같은 본부기지가 되었다

    조국독립이라는 애국심만으로 모여든 독립군이 훈련이나 병참 어느 것 하나 변변할 리 없었다. 일제의 정예 부대를 상대하기에는 여러 면에서 불리했다. 또한 독립군의 출신 지역이나 계층도 천차만별이었다. 독...
    21.01.19 17:48 ㅣ 김삼웅(solwar)
  • 12화형제들과 군무도독부 창설

    [[김삼웅의 인물열전] 무장독립투사 최운산 장군 평전 / 12회] 3ㆍ1혁명은 특히 만주와 노령지역의 독립운동가들에게 무장독립전쟁의 계기를 만들었다

    국치 9년 만에 거족적으로 봉기한 1919년 3ㆍ1혁명은 독립운동의 새로운 전기가 되었다. 특히 만주와 노령지역의 독립운동가들에게 무장독립전쟁의 계기를 만들었다.국내에서 독립시위에 나섰다가 옥고를 치렀거나 '3ㆍ1혁명...
    21.01.18 17:32 ㅣ 김삼웅(solwar)
  • 11화간도 왕청현 만세시위 주도

    [[김삼웅의 인물열전] 무장독립투사 최운산 장군 평전 / 11회] 일경의 보고서에 "수괴자는 귀화 조선인 최명록 및 최모"는 최진동과 최운산을 말한다

    최운산이 봉오동에서 무장독립전쟁을 준비하고 있을 즈음 국내에서는 기미년 3ㆍ1혁명이 발발하여 자주민임과 독립국임을 선언하였다. 만세시위는 3월 2일부터 전국적으로 확산되었다. 서울의 여러 지역을 비롯해...
    21.01.17 18:30 ㅣ 김삼웅(solwar)
  • 10화소떼 몰고 가서 신식무기 구입

    [[김삼웅의 인물열전] 무장독립투사 최운산 장군 평전 / 10회] 시베리아에 출병했던 체코군단을 통해 구매하는 경우가 많았다

    이역에서 둔병이 쉬운 일이 아니었다. 수백 명 병사들의 의식주부터 군사훈련까지 맡아서 해결해야 한다. 국가기관이 할 일을 개인이 하기에는 너무 벅차다. 최운산 형제들의 넉넉한 재산이 있음으로 가능해졌다. 여기에 최운산...
    21.01.16 16:39 ㅣ 김삼웅(solwar)
  • 9화무장독립전쟁 위한 준비

    [[김삼웅의 인물열전] 무장독립투사 최운산 장군 평전 / 9회] 최운산이 서둘러 자위단을 조직하고, 이를 통해 봉오동사관학교를 설립한 이유

    마적은 중국의 전통적인 토비(土匪)에서 기원한다.'악할 비(匪) 자'가 말해주듯이 농촌 출신자들의 도둑집단이다. 우리나라에서도 보수파 유생들은 동학(東學)과 동학혁명을 동비(東匪)라 불렀다. 중국에서는 토비가...
    21.01.15 17:32 ㅣ 김삼웅(solwar)
  • 8화봉오동을 독립전쟁의 전진기지로

    [[김삼웅의 인물열전] 무장독립투사 최운산 장군 평전 / 8회] 봉오동 둘레에 견고한 토성을 쌓고 방어체제를 갖추었다

    최운산 형제들은 봉오동을 독립전쟁의 전진기지로 만들었다.물적 기반을 갖추기 위해 자신들의 소유지에 콩기름공장ㆍ국수공장ㆍ주류공장ㆍ성냥공장ㆍ비누공장ㆍ콩과자공장을 비롯한 다양한 생필품 기업을 설립해 경영하였다...
    21.01.14 18:01 ㅣ 김삼웅(solwar)
  • 7화봉오동에 자위단과 사관학교 창설

    [[김삼웅의 인물열전] 무장독립투사 최운산 장군 평전 / 7회] 젊은이들이 독립군이 되기 위해 계속 봉오동으로 모여들었다

    1911년 10월 무창봉기를 계기로 폭발한 중국의 신해혁명은 청조의 몰락을 가져왔으나 반동적인 군벌의 등장으로 국정은 혼란을 거듭하고 있었다. 이런 틈새를 노리고 각지에서 마적이 나타났다. 마적의 성향은 갖가지였다. 일제...
    21.01.13 17:33 ㅣ 김삼웅(solwar)
  • 6화왕청현 일대 토지 소유

    [[김삼웅의 인물열전] 무장독립투사 최운산 장군 평전 / 6회] 장차 이곳에 둔전(屯田)을 만들고 이를 통해 둔병(屯兵)을 양성하고자 하는 목적이었다

    장작림과 오패부를 소개한 것은 최운산과 그의 형제들이 이들 군벌진영에서 중국 병사들의 훈련을 맡았고, 한때 전투에서 장작림의 목숨을 구해주었기 때문이다. 아버지의 친구인 무술 사부로부터 배웠던 각종 훈련이 군사교련에...
    21.01.12 18:16 ㅣ 김삼웅(solwar)
  • 5화무술 단련하며 군벌시대에 대처

    [[김삼웅의 인물열전] 무장독립투사 최운산 장군 평전 / 5회] 무술 수련의 고된 과정을 모두 마치고 마지막까지 남은 사람은 운산 한 명이었다

    최운산의 인생 행로는 기구하고 험난한 생애였다.태어난 시대도 그랬지만 출생의 장소 역시 다르지 않았다. 간도에서 한국인으로 태어났으나 간도협약으로 본인 의지와는 상관없이 청국(중국)인의 신분으로 바뀌었다. 한반도...
    21.01.11 17:40 ㅣ 김삼웅(solwar)
  • 4화봉오동에 터를 닦은 깊은 뜻

    [[김삼웅의 인물열전] 무장독립투사 최운산 장군 평전 / 4회] 최운산 형제들은 둔전을 일구면서 양병의 길을 택하였다

    우리 독립운동사에서 1920년 봉오동전투는 무장독립전쟁의 금자탑이다.봉오동전투가 있었기에 그해 가을 청산리대첩이 가능했다. 봉오동전투는 국치 이후 우리 독립군이 연대하여 최신식 무장을 하고 일본 정규군과 싸워 대...
    21.01.10 16:53 ㅣ 김삼웅(solwar)
  • 3화'간도협약' 시기에 봉오동으로 이주

    [[김삼웅의 인물열전] 무장독립투사 최운산 장군 평전 / 3회] 자식들에게 직접 조선 역사와 민족교육을 가르친 최운산 장군의 아버지

    최운산의 아명은 명길(明吉)이고 이명은 만익(萬益)ㆍ문무(文武)ㆍ고려(高麗)ㆍ명길(明吉)ㆍ풍(豊)ㆍ빈(斌)ㆍ복(福) 등 여러가지였다. 사업과 항일운동을 하는 과정에서 자주 바꿔 사용했던 것 같다. 11세 때부터...
    21.01.09 18:15 ㅣ 김삼웅(solwar)
  • 2화관리의 아들로 만주에서 태어나

    [[김삼웅의 인물열전] 무장독립투사 최운산 장군 평전 / 2회] 간도에서 항일운동이 활발하게 전개될 수 있었던 이유

    최운산은 1885년 11월 17일 중국 길림성 연길현 국자가(局子街)에서 아버지 최우삼(崔友三)과 어머니 전주 이씨 사이에서 4남 2녀 중 차남으로 태어났다.장남의 이름은 최진동(崔振東), 삼남은 최치홍(崔治興), 4남은 최명철...
    21.01.08 16:58 ㅣ 김삼웅(solwar)
  • 이용약관
  • 개인정보처리방침
  • 청소년보호정책
Copyright © OhmyNews